2024.06.18 (화)

  • 맑음속초27.5℃
  • 맑음33.1℃
  • 맑음철원32.8℃
  • 맑음동두천32.2℃
  • 맑음파주30.4℃
  • 맑음대관령29.5℃
  • 맑음춘천32.9℃
  • 맑음백령도26.8℃
  • 맑음북강릉27.3℃
  • 맑음강릉28.7℃
  • 맑음동해27.6℃
  • 맑음서울32.6℃
  • 맑음인천26.3℃
  • 맑음원주31.5℃
  • 맑음울릉도28.1℃
  • 맑음수원30.3℃
  • 맑음영월31.8℃
  • 맑음충주32.5℃
  • 맑음서산28.4℃
  • 맑음울진26.8℃
  • 맑음청주33.9℃
  • 맑음대전32.8℃
  • 맑음추풍령31.7℃
  • 맑음안동33.5℃
  • 맑음상주35.1℃
  • 맑음포항29.2℃
  • 맑음군산27.4℃
  • 맑음대구34.6℃
  • 맑음전주31.5℃
  • 맑음울산29.9℃
  • 맑음창원33.8℃
  • 맑음광주33.1℃
  • 맑음부산26.9℃
  • 맑음통영26.8℃
  • 맑음목포27.3℃
  • 맑음여수30.9℃
  • 맑음흑산도28.8℃
  • 맑음완도32.3℃
  • 맑음고창29.7℃
  • 맑음순천32.0℃
  • 맑음홍성(예)30.9℃
  • 맑음31.6℃
  • 맑음제주30.4℃
  • 맑음고산24.3℃
  • 맑음성산30.7℃
  • 맑음서귀포29.5℃
  • 맑음진주35.0℃
  • 맑음강화24.7℃
  • 맑음양평32.8℃
  • 맑음이천33.8℃
  • 맑음인제31.6℃
  • 맑음홍천31.8℃
  • 맑음태백31.5℃
  • 맑음정선군33.8℃
  • 맑음제천32.3℃
  • 맑음보은32.1℃
  • 맑음천안31.8℃
  • 맑음보령27.2℃
  • 맑음부여32.0℃
  • 맑음금산32.3℃
  • 맑음32.8℃
  • 맑음부안29.0℃
  • 맑음임실32.7℃
  • 맑음정읍32.4℃
  • 맑음남원33.3℃
  • 맑음장수31.8℃
  • 맑음고창군32.1℃
  • 맑음영광군30.2℃
  • 맑음김해시28.8℃
  • 맑음순창군32.4℃
  • 맑음북창원33.9℃
  • 맑음양산시34.0℃
  • 맑음보성군34.2℃
  • 맑음강진군34.2℃
  • 맑음장흥33.7℃
  • 맑음해남31.4℃
  • 맑음고흥33.9℃
  • 맑음의령군34.9℃
  • 맑음함양군34.6℃
  • 맑음광양시33.9℃
  • 맑음진도군26.7℃
  • 맑음봉화30.9℃
  • 맑음영주31.4℃
  • 맑음문경32.5℃
  • 맑음청송군33.9℃
  • 맑음영덕30.2℃
  • 맑음의성34.5℃
  • 맑음구미33.9℃
  • 맑음영천33.4℃
  • 맑음경주시35.4℃
  • 맑음거창33.3℃
  • 맑음합천35.1℃
  • 맑음밀양33.9℃
  • 맑음산청35.0℃
  • 맑음거제30.1℃
  • 맑음남해32.8℃
  • 맑음30.1℃
기상청 제공
표준뉴스 로고
[미국] 환경보호국(EPA), 플라스틱 폐기물 유래 공급 원료로 만든 화학물질 및 연료에 대한 규칙 제안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제표준

[미국] 환경보호국(EPA), 플라스틱 폐기물 유래 공급 원료로 만든 화학물질 및 연료에 대한 규칙 제안

US EPA Homepage.jpg
▲ 미국 환경보호국(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홈페이지

 

미국 환경보호국(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에 따르면 최근 플라스틱 폐기물에서 파생된 공급 원료로 만든 화학물질 및 연료에 대한 규칙을 제안했다.

제안된 규칙은 18가지 화학물질에 대한 독성물질통제법(Toxic Substances Control Act, TSCA)을 따르고 있다. 운송 연료를 만드는 데 사용되기 전에 안전하지 않은 오염 물질이 없는지 확인기 위한 목적이다.

제안된 중요한 신규 사용 규칙(Significant New Use Rules, SNURs)은 플라스틱 폐기물 유래 공급 원료를 활용해 연료를 만들기 전에 EPA에 검토 및 통지해야 된다.

플라스틱 폐기물 유래 공급 원료가 퍼-폴리플루오로알킬 물질(per- and polyfluoroalkyl substances, PFAS), 중금속, 다이옥신, 비스페놀(bisphenols), 난연(flame retardants)과 같은 불순물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EPA는 2015년과 2019년에 플라스틱 기반 공급 원료를 활용한 연료 생산에 대해 우려할 만한 불순문이 없다며 검토 및 승인했다. 하지만 최근 들어 플라스틱 폐기물에서 파생된 공급 원료에 포함되는 불순물이 더 많다는 사실을 파악했다.

따라서 EPA는 제안된 규칙에 따라 아래 내용을 포함한 폐기물 유래 공급 원료 사용 화학 물질의 제조 또는 처리 전 통지 및 검토를 요구했다.

포함된 불순물은 중금속(비소, 카드뮴, 크롬 VI, 납 및 수은 등), 다이옥신, 프탈레이트, PFAS, 폴리브롬화 디페닐 에테르(PBDE), 알킬페놀, 과염소산염, 벤조페논, 비스페놀 A(BPA), 유기염소계 살충제(OCP), 에틸 글리콜, 메틸 글리콜 또는 n-메틸피롤리돈(NMP) 등이다.

참고로 PFAS는 인간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공화학물질그룹으로 PFOA, PFOS, Genx, 기타 많은 화학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1940년 이후 미국 및 전 세계 다양한 산업에서 제조·사용되고 있다. 특히 둘러붙지 않는 냄비, 팬 코팅, 식품 포장 등 일상생활용품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평생 몸과 환경에 축적되고 분해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져 충격을 주고 있다. 최근에는 일반 가정에서 먹는 식수에서도 발견되고 있어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포토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