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0 (월)

  • 맑음속초25.7℃
  • 맑음26.0℃
  • 맑음철원26.2℃
  • 맑음동두천26.3℃
  • 맑음파주25.5℃
  • 맑음대관령23.4℃
  • 맑음춘천27.1℃
  • 안개백령도18.1℃
  • 맑음북강릉25.4℃
  • 맑음강릉28.1℃
  • 맑음동해25.5℃
  • 맑음서울26.9℃
  • 맑음인천25.8℃
  • 맑음원주26.6℃
  • 안개울릉도21.6℃
  • 맑음수원25.9℃
  • 맑음영월26.4℃
  • 맑음충주26.7℃
  • 맑음서산26.8℃
  • 맑음울진24.5℃
  • 맑음청주26.6℃
  • 맑음대전26.7℃
  • 맑음추풍령25.9℃
  • 맑음안동26.8℃
  • 맑음상주27.2℃
  • 구름조금포항28.5℃
  • 맑음군산26.0℃
  • 구름조금대구26.7℃
  • 맑음전주27.7℃
  • 구름많음울산28.5℃
  • 구름많음창원26.8℃
  • 맑음광주27.1℃
  • 박무부산26.2℃
  • 구름많음통영22.8℃
  • 구름조금목포25.9℃
  • 구름조금여수24.2℃
  • 맑음흑산도24.8℃
  • 구름많음완도25.6℃
  • 맑음고창28.7℃
  • 구름많음순천25.7℃
  • 맑음홍성(예)27.2℃
  • 맑음25.0℃
  • 구름많음제주25.8℃
  • 구름많음고산22.2℃
  • 구름많음성산23.4℃
  • 구름조금서귀포25.4℃
  • 구름많음진주26.1℃
  • 구름조금강화25.1℃
  • 구름조금양평24.6℃
  • 맑음이천27.0℃
  • 맑음인제26.3℃
  • 맑음홍천26.2℃
  • 맑음태백27.3℃
  • 맑음정선군27.9℃
  • 맑음제천26.0℃
  • 맑음보은25.8℃
  • 맑음천안26.0℃
  • 맑음보령28.0℃
  • 맑음부여25.6℃
  • 맑음금산26.2℃
  • 맑음26.2℃
  • 맑음부안27.6℃
  • 맑음임실25.1℃
  • 맑음정읍28.8℃
  • 맑음남원26.3℃
  • 맑음장수25.2℃
  • 맑음고창군28.3℃
  • 맑음영광군28.3℃
  • 구름많음김해시27.1℃
  • 맑음순창군26.1℃
  • 구름조금북창원27.1℃
  • 구름조금양산시27.6℃
  • 구름많음보성군25.9℃
  • 구름많음강진군25.7℃
  • 구름많음장흥26.3℃
  • 구름많음해남26.0℃
  • 구름많음고흥26.4℃
  • 구름많음의령군27.8℃
  • 맑음함양군28.1℃
  • 구름많음광양시27.5℃
  • 구름많음진도군25.9℃
  • 맑음봉화26.0℃
  • 맑음영주27.4℃
  • 맑음문경27.9℃
  • 맑음청송군28.4℃
  • 맑음영덕29.4℃
  • 맑음의성28.3℃
  • 맑음구미29.5℃
  • 구름많음영천26.8℃
  • 구름조금경주시29.8℃
  • 구름많음거창26.7℃
  • 구름조금합천27.8℃
  • 구름조금밀양26.0℃
  • 구름조금산청27.9℃
  • 구름많음거제24.8℃
  • 구름조금남해25.1℃
  • 구름많음26.8℃
기상청 제공
표준뉴스 로고
[특집-기술위원회] TC 202 - 미세선속 분석(Microbeam analysis)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특집-기술위원회] TC 202 - 미세선속 분석(Microbeam analysis)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 9개… 개발 중인 표준 5개

China SAC Homepage 7.jpg
▲ 중국 국가표준화관리위원회(Standardization Administration of the P. R. C, SAC) 홈페이지

 


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활동 중인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e, TC)는 TC 1~TC 323까지 구성돼 있다.

기술위원회의 역할은 기술관리부가 승인한 작업범위 내 작업 프로그램 입안, 실행, 국제규격의 작성 등이다. 또한 산하 분과위원회(SC), 작업그룹(WG)을 통해 기타 ISO 기술위원회 또는 국제기관과 연계한다.

ISO/IEC 기술작업 지침서 및 기술관리부 결정사항에 따른 ISO 국제규격안 작성·배포, 회원국의 의견 편집 등도 처리한다. 소속 분과위원회 및 작업그룹의 업무조정, 해당 기술위원회의 회의 준비도 담당한다.

1947년 최초로 구성된 나사산에 대한 TC 1 기술위원회를 시작으로 순환경제를 표준화하기 위한 TC 323까지 각 TC 기술위원회의 의장, ISO 회원, 발행 표준 및 개발 표준 등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

이미 다룬 기술위원회와 구성 연도를 살펴 보면 △1947년 TC 1~TC 67 △1948년 TC 69 △1949년 TC 70~72 △1972년 TC 68 △1950년 TC 74 △1951년 TC 76 △1952년 TC 77 △1953년 TC 79, TC 81 △1955년 TC 82, TC 83 △1956년 TC 84, TC 85 △1957년 TC 86, TC 87, TC 89 △1958년 TC 91, TC 92 △1959년 TC 94 △1960년 TC 96, TC 98 △1961년 TC 101, TC 102, TC 104 등이다.

또한 △1962년 TC 105~TC 107 △1963년 TC 108~TC 111 △1964년 TC 112~TC 115, TC 117 △1965년 TC 118  △1966년 TC 119~TC 122 △1967년 TC 123 △1968년 TC 126, TC 127 △1969년 TC 130~136 △1970년 TC 137, TC 138, TC 142, TC 145 △1971년 TC 146, TC 147, TC 148, TC 149, TC 150, TC 153 △1972년 TC 154 △1973년 TC 155 △1974년 TC 156~TC 161 △1975년 TC 162~TC 164 등도 포함된다.

그리고 △1976년 TC 165, TC 166 △1977년 TC 167, TC 168, TC 170 △1978년 TC 171, TC 172, TC 173, TC 174 △1979년 TC 176, TC 178 △1980년 TC 180, TC 181 △1981년 TC 182 △1983년 TC 183~TC 186 △1984년 TC 188 △1985년 TC 189, TC 190, TC 191 △1988년 TC 192~TC 194 △1989년 TC 195 △1990년 TC 197, TC 198 등이 있다.

ISO/TC 202 미세선속 분석(Microbeam analysis)과 관련된 기술위원회는 TC 199, TC 201와 마찬가지로 1991년 결성됐다. 사무국은 중국 국가표준화관리위원회(国家标准化管理委员会, Standardization Administration of the P. R. C, SAC)에서 맡고 있다.

위원회는 닝 자오(Mr Ning Zhao)가 책임지고 있다. 현재 의장은 지앙 자오(Mr Jiang Zhao)이며 임기는 2024년말 까지다.

ISO 기술 프로그램 관리자는 스테판 소바(M Stéphane Sauvage), ISO 편집 관리자는 아룬 ABY 파라에카티(Mr Arun ABY Paraecattil) 등이다.

범위는 입사빔으로 전자를 사용하고 감지 신호로 전자와 광자를 사용하는 마이크로빔 분석(측정, 매개변수, 방법 및 기준 물질) 분야의 표준화다.

참고로 고체재료의 구성 및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분석량은 일반적으로 최대 10마이크로미터의 깊이와 100제곱마이크로미터 미만의 표면적을 포함한다.

현재 ISO/TC 202 사무국과 관련해 발행된 표준은 30개며 ISO/TC 202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은 9개다.

ISO/TC 202 사무국과 관련해 개발 중인 표준은 5개다. 참여하고 있는 회원은 9개국, 참관 회원은 13개국이다.

□ ISO/TC 202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 9개 목록

▷ISO 5820:2024 Microbeam analysis — Hyper-dimensional data file specification (HMSA)

▷ISO 13067:2020 Microbeam analysis — Electron backscatter diffraction — Measurement of average grain size

▷ISO 15632:2021 Microbeam analysis — Selected instrumental performance parameters for the specification and checking of energy-dispersive X-ray spectrometers (EDS) for use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or an electron probe microanalyser (EPMA)

▷ISO 20720:2018 Microbeam analysis — Methods of specimen preparation for analysis of general powders using WDS and EDS

▷ISO 22029:2022 Microbeam analysis — EMSA/MAS standard file format for spectral-data exchange

▷ISO 22309:2011 Microbeam analysis — Quantitative analysis using energy-dispersive spectrometry (EDS) for elements with an atomic number of 11 (Na) or above

▷ISO 23703:2022 Microbeam analysis — Guidelines for misorientation analysis to assess mechanical damage of austenitic stainless steel by electron backscatter diffraction (EBSD)

▷ISO 23749:2022 Microbeam analysis — Electron backscatter diffraction —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austenite in steel

▷ISO 24173:2024 Microbeam analysis — Guidelines for orientation measurement using electron backscatter diffraction

□ ISO/TC 202 사무국 분과위원회(Subcommittee)의 책임 하에 발행 및 개발 중인 표준 현황

▷ISO/TC 202/SC 1 Terminology ; 발행된 표준 3개, 개발 중인 표준 1개

▷ISO/TC 202/SC 2 Electron probe microanalysis ; 발행된 표준 8개, 개발 중인 표준 1개

▷ISO/TC 202/SC 3 Analytical electron microscopy ; 발행된 표준 6개, 개발 중인 표준 3개

▷ISO/TC 202/SC 4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 발행된 표준 4개, 개발 중인 표준 0개










포토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