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4 (금)

  • 맑음속초20.6℃
  • 맑음19.4℃
  • 맑음철원18.1℃
  • 맑음동두천18.8℃
  • 맑음파주17.6℃
  • 맑음대관령13.8℃
  • 맑음춘천19.5℃
  • 안개백령도18.9℃
  • 맑음북강릉19.8℃
  • 맑음강릉21.7℃
  • 맑음동해19.6℃
  • 맑음서울23.1℃
  • 맑음인천20.8℃
  • 맑음원주22.3℃
  • 맑음울릉도20.4℃
  • 맑음수원19.3℃
  • 맑음영월18.9℃
  • 맑음충주20.0℃
  • 맑음서산18.9℃
  • 맑음울진18.1℃
  • 맑음청주23.8℃
  • 맑음대전21.8℃
  • 맑음추풍령18.1℃
  • 맑음안동22.2℃
  • 맑음상주21.6℃
  • 맑음포항21.7℃
  • 맑음군산20.0℃
  • 맑음대구22.4℃
  • 맑음전주22.0℃
  • 맑음울산19.7℃
  • 맑음창원20.6℃
  • 맑음광주23.4℃
  • 맑음부산21.4℃
  • 맑음통영19.5℃
  • 맑음목포21.0℃
  • 맑음여수21.3℃
  • 구름많음흑산도19.5℃
  • 맑음완도19.4℃
  • 맑음고창18.5℃
  • 맑음순천16.7℃
  • 맑음홍성(예)19.4℃
  • 맑음19.1℃
  • 구름많음제주22.0℃
  • 구름많음고산21.6℃
  • 구름많음성산20.0℃
  • 구름많음서귀포23.1℃
  • 맑음진주18.6℃
  • 맑음강화16.9℃
  • 맑음양평19.6℃
  • 맑음이천20.2℃
  • 맑음인제18.4℃
  • 맑음홍천19.1℃
  • 맑음태백15.4℃
  • 맑음정선군16.4℃
  • 맑음제천18.2℃
  • 맑음보은18.8℃
  • 맑음천안18.2℃
  • 맑음보령19.5℃
  • 맑음부여19.7℃
  • 맑음금산18.7℃
  • 맑음19.6℃
  • 맑음부안20.6℃
  • 맑음임실18.9℃
  • 맑음정읍19.9℃
  • 맑음남원21.1℃
  • 맑음장수17.8℃
  • 맑음고창군18.0℃
  • 맑음영광군18.7℃
  • 맑음김해시20.7℃
  • 맑음순창군19.9℃
  • 맑음북창원22.1℃
  • 맑음양산시19.8℃
  • 맑음보성군19.6℃
  • 맑음강진군19.9℃
  • 맑음장흥19.1℃
  • 맑음해남19.1℃
  • 맑음고흥17.0℃
  • 맑음의령군20.2℃
  • 맑음함양군19.1℃
  • 맑음광양시20.9℃
  • 맑음진도군18.2℃
  • 맑음봉화16.7℃
  • 맑음영주19.4℃
  • 맑음문경19.5℃
  • 맑음청송군16.7℃
  • 맑음영덕17.3℃
  • 맑음의성19.5℃
  • 맑음구미22.9℃
  • 맑음영천18.8℃
  • 맑음경주시18.7℃
  • 맑음거창18.7℃
  • 맑음합천20.6℃
  • 맑음밀양20.7℃
  • 맑음산청19.7℃
  • 맑음거제19.2℃
  • 맑음남해20.0℃
  • 맑음19.7℃
기상청 제공
표준뉴스 로고
민간이 이끄는 전기차 혁신, 정부가 적극 뒷받침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간이 이끄는 전기차 혁신, 정부가 적극 뒷받침

기술·규제 혁신, 부품기업의 미래 사업전환 등을 중점 지원할 계획임을 밝혀

산업통상자원부_본문사진.jpg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 이하 산업부)는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이 5월 18일에 기아 화성공장을 방문하여 현대차·기아의 국내 전기차 투자계획을 청취하고 자동차 산업의 미래 대응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고 밝혔다.


취임 후 첫 행보로 금일 자동차 공장을 방문한 것은 코로나 팬데믹,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등으로 대내외 여건이 어려운 시기에, 민간의 대규모 투자에 대한 정부 지원 의지를 표명하고, 미래 핵심 먹거리 산업인 자동차·모빌리티 분야의 현장 목소리를 경청하기 위함이라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현대차·기아는 2030년까지 국내 전기차 분야에 21조원을 투자하여 국내 전기차 생산기반을 확충할 계획임을 발표했다.


현대차·기아는 2030년 기준 국내에서 전기차를 연간 144만대 생산할 계획이며, 이는 국내외 전기차 총 생산량(323만대) 대비 약 45% 수준으로 국내가 여전히 생산의 주요 거점임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기아는 제조업의 서비스화 트렌드에 대응하여 전기차 기반의 PBV(다목적 모빌리티) 사업 진출을 본격화하고자 국내 최초 PBV 전기차 전용공장을 신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PBV는 Purpose Built Vehicle의 약자로 목적에 맞게 다양하게 제작하는 미래형 차량을 말한다.


PBV는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지만 아직은 해외에서도 유력한 강자가 없는 시장 형성 초기 단계로 선점이 중요한 분야이다. 


장 차관은 모두 발언을 통해 “불확실성이 큰 대내외 여건 속에서도 현대차·기아가 국내에 대규모 투자를 결정한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 소위 3高 시대에는 기업의 설비투자가 물가상승을 최소화하면서도 성장잠재력을 확충할 수 있는 최적의 수단”이라고 강조했고,


“정부는 다양한 투자지원과 규제혁신을 통해 민간 투자를 뒷받침하는 ‘성장지향형 산업전략’을 추진할 계획”임을 덧붙였다.


또한, “자동차 산업이 인포테인먼트, 로보택시와 같은 서비스와 융합하면서 ‘모빌리티 혁명’이 본격화되고 있는 만큼, 기업의 혁신 노력에 더욱 박차를 가해줄 것”을 당부했다.


아울러, 장 차관은 이어진 간담회에서 3가지의 큰 산업정책 방향을 통해 민간 주도의 모빌리티 혁명을 지원해 나갈 계획임을 밝혔다.


먼저, 민간의 투자가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투자 인센티브를 창의적으로 설계하고, 기업이 느끼는 규제와 애로도를 적극 해소하고,


산업 생태계 전반에 걸친 혁신과 경쟁력 강화가 중요하므로, 부품기업들도 함께 미래를 대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서비스 산업이 우리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만큼, 자동차 제조업이 서비스와 결합된 모빌리티 산업으로 진화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서 장 차관은 현장 관계자들과 EV6 생산라인을 시찰하고, 유럽·미국 등 선진 시장에서의 현대차·기아의 활약을 격려하는 한편, 


자동차 산업은 전후방 연관효과가 큰 만큼, 1·2·3차 협력사들도 미래 사업 중심으로 함께 전환해 나갈 수 있도록 현대차·기아의 역할을 당부했다.


장 차관은 앞으로도 기업 현장을 찾아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업계 애로를 해소하는 노력을 이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포토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