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김학선 박사의 표준살롱] 대한민국 주권이 숨 쉬는 Call Sign "호출부호"

기사입력 2022.04.18 15:00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s url

    13.jpg

     

    매일 아침 모 라디오에서 음악 FM을 청취하다 보면 갑자기 중간에서 "여기는 HLKA"라는 영어 4개의 알파벳을 단호하고 또박또박한 음성으로 들려준다. 


    나는 들을 때마다 궁금했는데 그것은 바로 "호출부호(Call Sign)"라고 한다. 

     

    간단히 호출부호를 설명하는 예를 들면, 만약 어떤 지역에서 불특정 전파방송이 들리고 있는데 그 방송이 어느 나라 어느 방송국인지 알 수 없을 때는 "호출부호"만 인지하면 바로 알 수 있다고 한다.


    관련 문헌을 찾아보니 호출부호는 무선통신을 운용하는 무선국을 식별할 수 있도록 무선국마다 지정되는 호출부호로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서 1959년 제정한 국제전기통신협약 부속 전파규칙(Radio Regulations ; PR) 제42조 국제호출부호별 분배표에 의거 국가별로 방송국, 항공기, 선박 모두 호출부호를 부여한다고 한다. 


    우선 호출부호의 구성은  앞 1 문자 또는 2 문자 Prifix(해당 무선국의 국적지)와 Surffix(해당국가 방송국별, 지역별 등)로 되어있다.


     대한민국의 호출부호는 Prifix "HL"로 시작해서 DS, 6K, 6L, 6M, 6N, D7, D8, D9, DT가 배정되어 있다. 위성을 통해서 전 세계적으로 전파되는 방송에서 HL, DS, 6K 등만 들어도 대한민국 방송인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방송국 호출부호는 일제강점기인 1927년에 개국한 경성방송국(지금의 KBS)으로 당시 일본의 호출부호인 Prifix "JO"에 Surffix "DK"를 붙여서 "JODK"라고 불려졌다. 


    이후 대한민국이 해방되었지만 미 군정청에 의해서 대한민국 국적이 없는(호출부호 없이) 방송하다가 겨우 영어로 "This is Seoul, Korea, Key station of the Korean Broadcasting System"으로 대신해야 했던 암울한 시절이 있었다. 


    그러한 어려운 역경을 겪고서야 비로소 1947년 9월 3일, 미국 애틀랜타시에서 개최된 국제전기연합(ITU)회의에서 "HL"이라는 호출부호를 최초로 배정받게 된다. 


    이날이 "JO"라는 일본 호출부호가 물러가고 난 후에 최초로 대한민국 방송이 독립적인 전파주권을 회복한 날이다(현재 "방송의 날"이다). 만약 우리가 지금까지  일제 식민지로 남았다면 지금도 "JODK"라는 치욕적인 호출부호를 듣고 있었을 것이다. 


     오늘 아침 출근길 라디오 아나운서의 점잖은 목소리로 들려주는 "엣치 엘 케이 에이(HLKA)"


    매일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던 호출부호가 이제는 '주권이 있는 독립국가인 대한민국'에 산다는 것을 새삼 일깨워주듯이 "Call Sign"받은 기분 좋은 아침이다. 

    backward top home